본문 바로가기

JAVA/Spring

[Spring] 빈 스코프(singleton bean, prototype bean)

728x90

빈 스코프란?

스프링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 시작 때 생성되어 컨테이너 종료까지 유지된다.

이는 스프링 빈이 기본적으로 싱글톤 스코프이기 때문이다.

스코프는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한다.

스프링은 다음과 같은 스코프를 지원한다.

  • 싱글톤 : 기본 스코프,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시 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이다.
  • 프로트타입 :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트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이다.

웹 관련 스코프

  • request : 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 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
  • session :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 떄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
  • application : 웹의 서블릿 컨텍스와 같은 범위로 유지되는 스코프이다.
  • 등록 예제*

컴포넌트스캔

@Scope("prototype")
@Component
public class Bean {
...
}

*수동 등록*

@Scope("prototype")
@Component
public class Bean {
...
}

## 프로토 타입 스코프

싱글톤 스코프의 빈 조회 시 스프링 컨테이너는 항상 같은 인스턴스의 스프링 빈을 반환한다.

반면 프로토타입 스코프의 빈을 조회하면 항상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반환한다.

(이전에 싱글톤 빈에 대해 다룰 때 언급한 적 있다)

라이프사이클

  1. 프로토타입 빈을 요청한다.
  2. 스프링 컨테이너는 빈을 생성하고 의존관계를 주입한다.
  3. 만들어진 빈을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.
  4. 이후 같은 요청이 들어오면 위 과정을 다시하여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해서 반환한다.

정리

핵심은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하고, 의존관계 주입, 초기화까지만 처리해주는 것

클라이언트 반환 이후에는 생성된 빈을 관리하지 않는다.

그래서 종료 메서드 (@PreDestory)를 사용할 수 없다.

(인스턴스를 받은 이후에는 클라이언트가 책임을 지는 것)

예제

싱글톤으로 만든 빈의 속성비교

@Test
    void singletonBeanFind() {
        ApplicationContext ac =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SingletonBean.class);

        SingletonBean singletonBean1 = ac.getBean(SingletonBean.class);
        SingletonBean singletonBean2 = ac.getBean(SingletonBean.class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singletonBean1 = " + singletonBean1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singletonBean2 = " + singletonBean2);
        Assertions.assertThat(singletonBean1).isSameAs(singletonBean2);
    }

    @Scope("singleton")
    static class SingletonBean{

        @PostConstruct
        public void init() 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SingletonBean.init");
        }

        @PreDestroy
        public void destory() 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SingletonBean.destory");
        }

    }

출력값

SingletonBean.init
singletonBean1 = hello.core.scope.SingletonTest$SingletonBean@c0c2f8d
singletonBean2 = hello.core.scope.SingletonTest$SingletonBean@c0c2f8d
09:39:07.950 [main] DEBUG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- Closing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@b7f23d9, started on Fri Jul 16 09:39:07 KST 2021
SingletonBean.destory

라이프 사이클 콜백도 잘 실행 되었고 똑같은 객체임을 알 수 있다.

프로토 타입 스코프로 만든 빈의 속성 비교

@Test
    void prototypeBeanFind() {
      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=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PrototypeBean.class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find prototypeBean1");
        PrototypeBean prototypeBean1 = ac.getBean(PrototypeBean.class);

        System.out.println("find prototypeBean2");
        PrototypeBean prototypeBean2 = ac.getBean(PrototypeBean.class);

        System.out.println("prototypeBean1 = " + prototypeBean1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prototypeBean2 = " + prototypeBean2);

        assertThat(prototypeBean1).isNotSameAs(prototypeBean2);

        ac.close();
    }

    @Scope("prototype")
    static class PrototypeBean {

        @PostConstruct
        public void init() 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PrototypeBean.init");
        }

        @PreDestroy
        public void destory() 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PrototypeBean.destory");
        }
    }

출력값

find prototypeBean1
PrototypeBean.init
find prototypeBean2
PrototypeBean.init
prototypeBean1 = hello.core.scope.ProtoTypeTest$PrototypeBean@c0c2f8d
prototypeBean2 = hello.core.scope.ProtoTypeTest$PrototypeBean@305b7c14
09:50:09.103 [main] DEBUG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- Closing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@b7f23d9, started on Fri Jul 16 09:50:08 KST 2021

프로토타입 빈의 객체 값이 서로 다르다.

싱글톤 빈과 차이점

  • 싱글톤 빈과 차이점으로 싱글톤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시점에 초기화 메서드가 실행되지만 프로토타입 스코프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빈을 조회할 때 생성되고, 초기화 메서드가 실행된다.
  • 프로토타입 빈을 2번 조회했으므로, 다른 스프링 빈이 생성되고 초기화가 2번 생성되었다.
  • 종료메서드가 실행되지 않는다.
prototypeBean1.destory();
prototypeBean2.destory();

만약 프로토타입 빈의 종료메서드 호출이 필요하다면 위 처럼 직접 호출해야 한다.

(스프링 컨테이너 손에서 떠나갔기 때문)

프로토타입 빈의 특징 정리

  • 스프링 컨테이너 요청할 떄 마다 새로 생성한다.
  • 스프링 컨테이너는 생성, DI, INIT까지만 관여한다.
  • 종료 메서드가 실행되지 않는다.
  • 고로 클라이언트가 관리해야 하며 종료 메서드도 직접 실행해야함.

프로토타입 스코프와 싱글톤 빈을 함께 사용할 때 문제점

이 프로토타입 스코프 빈과 싱글톤 빈을 함께 사용하면 의도한 대로 동작하지 않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.

@Test
    void prototypeFind() {
      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=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PrototypeBean.class);
        PrototypeBean prototypeBean1 = ac.getBean(PrototypeBean.class);
        prototypeBean1.addCount();
        assertThat(prototypeBean1.getCount()).isEqualTo(1);

        PrototypeBean prototypeBean2 = ac.getBean(PrototypeBean.class);
        prototypeBean2.addCount(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prototypeBean1.getCount() = " + prototypeBean1.getCount()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prototypeBean2.getCount() = " + prototypeBean2.getCount());
        assertThat(prototypeBean2.getCount()).isEqualTo(1);

    }

    @Scope("prototype")
    static class PrototypeBean {
        private int count = 0;

        public void addCount() {
            count++;
        }

        public int getCount() {
            return count;
        }
}

만약 prototype으로 생성한 카운트 변수 빈을 각각 addCount를 적용시키면 아래와 같은 출력결과를 얻을것이다.

prototypeBean1.getCount() = 1
prototypeBean2.getCount() = 1

싱글톤 빈에서 프로트타입 빈이 사용된다면?

이번에는 clientbean 이라는 싱글톤 빈에 의존관계 주입으로 프로토타입 빈을 주입받아서 사용하는 경우를 만들어보자.

  • clientBean은 싱글톤이므로,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시점에 함께 생성되고, 의존관계 주입도 발생한다.
  • clientBean 은 의존관계 자동 주입을 사용한다. 주입 시점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프로토타입 빈을 요청한다.
  •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해서 cleintBean 에 반환한다. 프로토타입 빈의 count 필드 값은 0이다.
  • 이제 clientBean 은 프로토타입 빈을 내부 필드에서 보관한다. (참조값을 보관하는 것)

여기서 만약 두명의 클라이언트 A, B가 각각 prototypeBean.addCount를 요청하게 되면

스프링 컨테이너는 앞서 요청한 클라이언트가 앞서 만들어둔 싱글톤 빈 내부의 porototype 인스턴스를 사용하게 되므로 prototypebean의 count는 각 각 1이 되는 것이 아닌 2가 되버린다.

예제코드

        @Test
    void singletonClientUseProtoType() {
      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=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PrototypeBean.class, ClientBean.class);
        ClientBean clientBean1 = ac.getBean(ClientBean.class);
        int count1 = clientBean1.logic(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count1 = " + count1);
        assertThat(count1).isEqualTo(1);

        ClientBean clientBean2 = ac.getBean(ClientBean.class);
        int count2 = clientBean2.logic(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count2 = " + count2);
        assertThat(count2).isEqualTo(2);
    }

    @Scope("singleton")
    static class ClientBean {
        private final PrototypeBean prototypeBean; //생성 시점에 주입

        public ClientBean(PrototypeBean prototypeBean) {
            this.prototypeBean = prototypeBean;
        }

        public int logic() {
            prototypeBean.addCount();
            return prototypeBean.getCount();
        }
    }

출력값

count1 = 1
count2 = 2

ClientBean 클래스의 의존클래스인 prototypeBean은 생성되는 순간 clientBean 내부에 주입되어 관리 되므로 본래 속성이 무시되는 것이다.

개발자가 사용할 때 마다 새로 생성해서 사용하는 동작을 원할 것이다.

해결방법

1. 스프링 컨테이너에 직접 요청하기

@Scope("singleton")
    static class ClientBean {
//        private final PrototypeBean prototypeBean; //생성 시점에 주입

        @Autowired
       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;

//        public ClientBean(PrototypeBean prototypeBean) {
//            this.prototypeBean = prototypeBean;
//        }

        public int logic() {
            PrototypeBean prototypeBean = applicationContext.getBean(PrototypeBean.class);
            prototypeBean.addCount();
            return prototypeBean.getCount();
        }
    }

의존관계 주입와 객체생성 생성자를 통해서가 아닌 메소드를 호출할 때 발생시키게 코드를 수정해보고 다시 실행해보았다.

출력값

PrototypeBean.inithello.core.scope.SingletonWithPrototypeTest1$PrototypeBean@5f9b2141
count1 = 1
PrototypeBean.inithello.core.scope.SingletonWithPrototypeTest1$PrototypeBean@247d8ae
count2 = 1

서로 다른 객체로 생성되어 의도한대로 동작되었다.

당장은 해결되었지만 스프링 컨테이너 호출부가 logic 메소드 안에 들어가버리면서 코드가 복잡해진다.

  • 의존관계를 외부에서 주입받는(DI) 상황이 아니라 직접 필요한 의존관계를 찾는 상황이 되었다. 이를 Dependency Lookup (DL) 의존관계 조회(탐색) 이라고 한다.
  •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전체를 주입받게 되면, 스프링 컨테이너에 종속적인 코드가 되고, 단위 테스트 또한 어려워짐
  • 지금 필요한 기능은 프로타입 빈을 컨테이너에서 대신 찾아주는 기능이다.

이런 문제도 스프링은 준비를 해두었다.

2. ObjectFactory, ObjectProvider

@Scope("singleton")
    static class ClientBean {

        @Autowired
        private ObjectProvider<PrototypeBean> prototypeBeanProvider;

        public int logic() {
            PrototypeBean prototypeBean = prototypeBeanProvider.getObject();
            prototypeBean.addCount();
            return prototypeBean.getCount();
        }
    }

ObjectProvider에 제네릭 타입을 지정해주고 getObject를 사용하면 그 때 prototypeBean을 반환해준다.

PrototypeBean.inithello.core.scope.SingletonWithPrototypeTest1$PrototypeBean@33990a0c
count1 = 1
PrototypeBean.inithello.core.scope.SingletonWithPrototypeTest1$PrototypeBean@50b5ac82
count2 = 1

prototype 객체가 별개로 생성되어 호출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.

ObjectProvider는 ObjectFactory를 구현한 클래스로 ObjectFactory는 getObject하나만 지원하지만 Provider는 조금 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.

  • ObjectProvidergetObject() 를 호출하면 내부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해당 빈을 찾아서 실행한다. (DL)
  • 단순한 기능이라 단위테스트나 mock코드 만들기 훨씬 쉽다.

특징

  • ObjectFactory : 기능이 단순, 별도의 라이브러리 필요 없음, 스프링에 의존
  • ObjectProvider: ObjectFactory 상속, 옵션, 스트림 처리 등 편의 기능이 많고, 별도의 라이브러리가 필요 없다.

3. JSR-330 Provider

마지막 방법은 javax.inject.Provider 라는 JSR-330 자바 표준을 사용하는 방법이다.

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javax.inject:javax.inject:1 라이브러리를 gradle에 추가해야 한다.

예제 코드

@Scope("singleton")
    static class ClientBean {

        @Autowired
        private Provider<PrototypeBean> prototypeBeanProvider;

        public int logic() {
            PrototypeBean prototypeBean = prototypeBeanProvider.get();
            prototypeBean.addCount();
            return prototypeBean.getCount();
        }
    }

provider.get() 을 통해 객체가 대입되며 2번 예제와 똑같은 결과를 출력한다.

특징

  • get() 메서드 하나로 기능이 매우 단순하다.
  • 별도 라이브러리를 받아야 한다. (javax:inject)
  • 자바 표준이므로 스프링이 아닌 다른 컨테이너에도 사용할 수 있다.

정리

  • 프로토타입 빈은 매번 사용 시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새로운 객체가 필요할 때 사용하면 된다.
    실무에서는 대부분 싱글톤 빈으로 해결이 되므로 프로토타입 빈을 사용하는 일은 드물다.
  • ObjectProvider, JSR03 Provider 등은 프로토 타입이 아니여도 언제든 사용할 수 있다.
  • 스프링 제공 기능이나 자바 제공 기능이나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.